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CU 그린세이브 서비스 마감세일 할인 판매

by 포스터달려 2020. 6. 24.

환경부에 따르면 전국에서 하루에 버려지는 음식물 쓰레기양은 평균 1만4477t에 이른다고 합니다. 음식물 쓰레기는 80% 이상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쉽게 부패되고 모기 등의 해충번식을 유발할 수 있어 음식물쓰레기 처리 비용으로만 연간 약 2조 원이 투입되고 있습니다.

 

 

특히 음식물 쓰레기의 약 65%가 섭취 전 완제품 상태에서 폐기처리 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러한 음식물 쓰레기를 줄이기 위해 CU에서 그린세이브(Green Save) 서비스를 도입했는데 그린세이브 서비스가 무엇인지 살펴보시고 편리하게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그린세이브(Green Save) 서비스란?

 

CU 그린세이브 서비스는 유통기한이 임박한 상품이나 점포에서 판매가 부진한 상품을 폐기하는 대신 할인된 가격에 판매하는 서비스로, 전세계적으로 일고있는 식품 손실(Food loss) 줄이기 캠페인에 동참하기 위해 기획됐습니다.

 

 

3000여개 식음료 대상

 

CU는 도시락, 샌드위치, 디저트 등 유통기한이 짧은 신선 식품부터 과자, 음료, 즉석식품, 안주 등 일반식품까지 약 10개 카테고리 3000여 개 식음료를 대상으로 그린세이브 서비스를 운영합니다.

 

 

그린세이브(Green Save) 서비스 상품 최대 40%할인 판매

 

그린세이브 서비스 대상 상품은 최대 40%까지 할인된 가격으로 판매되며, 고객들의 취식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일반식품은 각 점포에서 설정한 만료일 전까지, 신선 식품은 유통기한 20분 전까지만 구매 가능합니다.

 

 

 

그린세이브(Green Save) 서비스 이용방법

 

CU 그린세이브 서비스는 유통기한 임박상품 거래 앱 ‘라스트오더’에서 이용할 수 있습니다.

 

 

 

고객이 해당 앱에서 상품을 골라 결제를 마치면 접수된 주문서가 해당 점포의 POS에 팝업 알림으로 전달되고, 점포 근무자는 미리 판매를 인지하고 상품을 별도로 포장해 둡니다. 고객은 지정한 방문 시간에 점포를 방문해 바코드를 제시하고 상품을 픽업하면 됩니다.

 

 

편의점 근무자의 편의성 고려

 

특히, CU 그린세이브 서비스는 근무자가 상품을 일일이 앱 카메라로 찍거나 상품명을 검색해서 업로드해야 하는 불편함을 없앴습니다. 라스트오더 앱과 점포 시스템을 연동시켜 점포 시스템(OPC)에서 할인판매 상품으로 등록하기만 하면 자동으로 앱에 등록됩니다.

 

 

예약판매 방식 서비스 다각화

 

CU는 그린세이브 서비스를 내달까지 서울시 내 일부 점포에서 테스트한 후 전국으로 확대할 계획입니다. 앞서 지난해 CU는 앱에서 미리 도시락을 주문할 할 수 있는 도시락 예약 서비스를 론칭했으며, 최근에는 예약을 해야만 구매할 수 있는 상품도 선보이고 있습니다.

 

 

이러한 예약판매 방식은 구매로 이어지지 않아 버려지는 상품을 최소화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친환경 매장 CU 그린스토어에서는 점포에서 발생하는 음식물 쓰레기 배출량을 85%나 감축할 수 있는 음식물 처리기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일석 삼조의 효과

 

그린세이브 서비스를 통해 음식물 쓰레기 감소, 가맹점의 운영 효율 제고, 고객의 합리적인 쇼핑까지 일석삼조의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